본문 바로가기
알기 쉽게 설명하는 IT

2. 쉽게 설명하는 IT :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 채굴(Mining)이란?

by senny_life 2025. 1. 5.
반응형

지난 시간에는 비트코인의 원리인 블록체인에 대해서 이야기했는데요.

이번에는 비트코인 채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비트코인에 대해서도 더 이해해야겠죠?

 

비트코인 채굴 쉽게 이해하기

비트코인 이야기를 하다 보면 한 번쯤 들어봤을 채굴(Mining).

"비트코인을 채굴한다"는 말을 들으면, 마치 금을 캐는 것 같은 이미지를 떠오릅니다.

사실 비트코인 채굴도 금을 캐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다만, 땅을 파서 광물을 찾는 대신,

컴퓨터가 복잡한 수학문제를 푸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채굴이 뭐고, 왜 이런 과정이 필요한지 아주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1. 비트코인을 채굴한다는 건 무슨 뜻일까요?

비트코인은 지난 시간에 말한 것처럼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관리하지 않는 탈중앙화된 디지털화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스스로 거래를 관리하고 새로운 비트코인을 발행하려면

특별한 "검증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 과정을 채굴(Mining)이라고 부르는데요.

 

채굴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거래검증 : 사람들이 주고받는 비트코인 거래 내역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작업.

(2) 새로운 비트코인 생성 : 채굴에 성공한 사람(채굴자)은 보상으로 새롭게 발행된 비트코인을 받습니다.


2. 비트코인 채굴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비트코인 채굴은 컴퓨터로 복잡한 수학문제를 풀어내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수학문제란,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암호화된 퍼즐(해시함수)을 말합니다.

 

2-1. 해시(Hash)란?

해시는 어떤 입력값(데이터)을 넣으면 무작위처럼 보이는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을 생성하는 암호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 

입력 : "안녕하세요" -> 출력 : '3 a8391 bf...'

입력 : "안녕하세요!" -> 출력 : '84 b9 f812...'

와 같이 입력이 조금만 달라져도 출력값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2-2. 채굴자가 푸는 문제

채굴자는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해시값이 "0000"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조건이 주어진다며, 채굴자는 이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찾기 위해

수없이 많은 숫자 조합을 시도해야 합니다.

이런 작업은 무작위로 시도해서 맞출 수밖에 없이 때문에 엄청난 계산 능력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3. 채굴에 성공하면 어떤 보상을 받을까요?

비트코인을 채굴하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한 대가로 비트코인 보상과 함께 약간의 거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비트코인의 총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채굴 보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를 반감기(halving)라고 합니다.

 

3-1. 반감기란?

반감기는 약 4년마다 한 번씩 일어나며, 채굴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걸 의미합니다.

처음 비트코인이 등장한 2009년에는 블록하나를 채굴할 때 50 BTC를 보상으로 받았지만,

현재 (2024년 기준)는 한 블록당 6.25 BTC로 줄어들었습니다.

반감기가 반복되면서 채굴보상은 줄어드는 대신 비트코인의 희소성이 높아져 가치가 유지되도록 설계된 거예요.


여기까지 쉽게 풀어서 비유로 설명해 볼게요.
비트코인 채굴을 현실세계의 상황에 비유하면 이해가 더 쉬울 수 있어요.
채굴자들은 복권을 사는 것처럼 무작위 숫자를 계속 시도합니다.
어떤 채굴자가 "정답"이 되는 숫자를 가장 먼저 찾아내면 해당 채굴자가 복권당첨처럼 비트코인 보상을 받습니다.

4. 채굴은 누가, 어떻게 하나요?

4-1. 개인채굴

초기에는 누구나 집에서 개인 컴퓨터를  사용해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학문제의 난이도가 점점 어려워지고, 더 높은 연산 능력이 필요한 상황이 됐습니다.

지금은 고사양 하드웨어(ASIC채굴기)가 없으면 개인 채굴은 거의 불가능해졌습니다.

 

4-2. 채굴 풀(Mining Pool)

최근에는 여러 채굴자들이 채굴 풀(Mining Pool)이라는 그룹에 모여 힘을 합칩니다.

각자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계산 작업을 나눠서 하고, 채굴에 성공하면 보상을 나눠 갖는 구조입니다.

이 방식은 채굴 성공 확률을 높이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채굴자들이 이런 풀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의문이 몇 가지 들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누가 내는 것이며, 비트코인 보상은 누가 주는 거고, 왜 2,100만 개로 정해져 있는 거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 자체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